스타크래프트 게임 모작 등으로 스프라이트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작성합니다.
1. 준비물
- Total Commander 프로그램 설치
- Total Commander mpq 플러그인 다운로드
https://totalcmd.net/plugring/mpq.html
2. Total Commander로 mpq파일 압축 풀기
- Total Commander를 설치했으면 다운받은 mpq 플러그인(wcx_mpq)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
- mpq.wcx 파일과 ListFile.txt를 Total Commander 설치경로에 옮겨 준다.
따로 경로를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C:\Program Files\totalcmd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 복사가 조금 불편하다. ctrl + a 하면 선택되었다는 표시로 파일명이 빨개지는데,
이 때 아래의 ‘Copy’ 버튼을 누르면 가운데 창에서 원하는 위치에 압축을 풀어줄 수 있다.
- 같은 방법으로 StarDat.mpq, BroodWar.mpq, BrooDat.mpq 파일 모두 압축풀어주면 된다.
브루드워에서 추가된 신버전 파일들이라 중복되는 것이므로
StarDat에서 추출한 파일이 있는 폴더에 BrooWar, BrooDat 순서로 파일을 덮어씌워 준다.
3. 스프라이트 추출하기
이번에는 PyMS를 사용해줘야 한다.
- PyMS 깃헙에 들어가서
https://github.com/poiuyqwert/PyMS#installation
쭉 내리다 보면 이와 같이 필요 파이썬 버전이 적혀있다. 들어가서 이 버전대로 깔아준다.
py -2.7
을 입력한다. 아래처럼 >>>로 바뀌뀌고 버전이 2.7.12로 나오면 제대로 설치된 것이다.혹시나 명령어가 안먹으면 구글에 ‘파이썬 환경변수 추가’를 검색해서 하고온 뒤 다시 해보면 아마 될 것이다.
py -2.7 -m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터미널에서 위 명령어를 입력한다. 알아서 필요한 파이썬 플러그인을 설치해준다.
- 폴더 안에 들어가서 PyGRP.pyw를 더블클릭하면 아마 연결 프로그램 선택창이 나올텐데, 파이썬과 관련된 연결프로그램을 골라주면 아마 알아서 실행될것이다.
혹시나 안된다면 아까 열었던 터미널에서
py -2.7 PyGRP.pyw
를 입력해 주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3. 스프라이트 추출하기
이제 스프라이트를 추출할수 있다.
스프라이트 파일은 ‘.grp’ 확장자로 되어 있다. 이걸 열어준다.
인게임 유닛들의 스프라이트는 unit 폴더 안에 있다.
예시로 unit/thingy/esflarge.grp 파일을 열어보면 (아비터의 스테이시스 필드 스킬 이펙트)
이런식으로 불러오기가 된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아비터의 스테이시스 필드는 파란색 계열인데 빨간색으로 출력되고 있다.
왼쪽 아래의 ‘팔레트’가 달라서 그렇다.
팔레트를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저장된 .grp 데이터의 색감이 변경되는 구조이다.
하나씩 변경하다 보면 ‘bfire.pal’이 스테이시스 필드 스킬의 팔레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걸 하나하나 일일히 알려주기에는 양이 너무 많으므로 생략하겠다.
어차피 이걸 추출하고 있다는것은 분명히 스타크래프트를 많이 해보셨을 것이기 때문에 팔레트를 바꾸다 보면 금방 찾아낼것이다.
- 대략적인 팔레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bfire(blue) → 일반적으로 프로토스 계열의 이펙트로 많이 사용
- gfire(green) → 일반적으로 저그 계열의 이펙트로 많이 사용
- ofire(orange) → 일반적으로 테란 계열의 이펙트로 많이 사용
- Icons → 말그대로 아이콘
- Terrain → 지형(베스핀가스 같은것들)에 적용
- Units → 마젠타 색상 컬러키를 가진 유닛 스프라이트가 출력됨
- Wireframe → 와이어프레임에 사용(오브젝트의 체력에따라 파츠 손상도 표시하는 그거)
팔레트를 맞췄으면 이제 추출을 해주면 된다.

- Ctrl + A를 눌러 전체 프레임을 선택해주고
- 하단의 드롭다운 메뉴에서 Single BMP(FrameSets 를 선택해준 뒤에
- 3번의 아이콘을 클릭해서 Export BMP를 해주면 된다.
cf)드롭다운 메뉴에서 One BMP Per Frame 하면 한 장당 파일 하나로 생성 가능한데 너무 복잡해지므로 가급적이면 한장에 다 떄려넣는 Single BMP를 선택해 주자.
Single BMP(Vertical)은 절대로 사용하지말것. 세로로 엄청 길게 파일을 생성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결과물을 얻을수 있다

<프로그램 사용법 요약>

- 파일 열어준다
- 팔레트 골라준다
- 프레임 전부 선택해주고
- Single BMP(Framesets) 인지 확인한 후
- Export BMP로 변환
TIP
- 리소스 이름 파일 네이밍이 실제 유닛 이름과 다른 경우가 매우 많다. 한눈에 뭔지 잘 모르겠으면
[site:www.stormcoast-fortress.net] ‘파일명’ 으로 검색해보자. 대부분 나온다.
- 인터페이스 같은 경우는 .pcx 파일 형태로 되어있고, 꿀뷰나 알씨로도 열어볼수 있으며 변환도 가능하다.
- 초상화 같은 경우는 portrait 폴더 안에 .smk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데, 열기도 복잡하고 이미지형태로 바꾸는것도 복잡한데다가
그냥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해서 gif 파일 갖다 쓰는게 더 빠를수도 있다.
요약
- Total Commander 프로그램 설치후 MPQ 플러그인을 등록해서 MPQ파일 압축을 해제
- PyMS를 설치하고 PyGRP.pyw를 실행해서 .grp 파일을 .bmp 파일로 변환
Uploaded by N2T
스타크래프트 게임 모작 등으로 스프라이트 데이터를 추출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해 작성합니다.
1. 준비물
- Total Commander 프로그램 설치
- Total Commander mpq 플러그인 다운로드
https://totalcmd.net/plugring/mpq.html
2. Total Commander로 mpq파일 압축 풀기
- Total Commander를 설치했으면 다운받은 mpq 플러그인(wcx_mpq) 파일의 압축을 풀어준다.
- mpq.wcx 파일과 ListFile.txt를 Total Commander 설치경로에 옮겨 준다.
따로 경로를 지정하지 않았을 경우 C:\Program Files\totalcmd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 복사가 조금 불편하다. ctrl + a 하면 선택되었다는 표시로 파일명이 빨개지는데,
이 때 아래의 ‘Copy’ 버튼을 누르면 가운데 창에서 원하는 위치에 압축을 풀어줄 수 있다.
- 같은 방법으로 StarDat.mpq, BroodWar.mpq, BrooDat.mpq 파일 모두 압축풀어주면 된다.
브루드워에서 추가된 신버전 파일들이라 중복되는 것이므로
StarDat에서 추출한 파일이 있는 폴더에 BrooWar, BrooDat 순서로 파일을 덮어씌워 준다.
3. 스프라이트 추출하기
이번에는 PyMS를 사용해줘야 한다.
- PyMS 깃헙에 들어가서
https://github.com/poiuyqwert/PyMS#installation
쭉 내리다 보면 이와 같이 필요 파이썬 버전이 적혀있다. 들어가서 이 버전대로 깔아준다.
py -2.7
을 입력한다. 아래처럼 >>>로 바뀌뀌고 버전이 2.7.12로 나오면 제대로 설치된 것이다.혹시나 명령어가 안먹으면 구글에 ‘파이썬 환경변수 추가’를 검색해서 하고온 뒤 다시 해보면 아마 될 것이다.
py -2.7 -m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터미널에서 위 명령어를 입력한다. 알아서 필요한 파이썬 플러그인을 설치해준다.
- 폴더 안에 들어가서 PyGRP.pyw를 더블클릭하면 아마 연결 프로그램 선택창이 나올텐데, 파이썬과 관련된 연결프로그램을 골라주면 아마 알아서 실행될것이다.
혹시나 안된다면 아까 열었던 터미널에서
py -2.7 PyGRP.pyw
를 입력해 주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3. 스프라이트 추출하기
이제 스프라이트를 추출할수 있다.
스프라이트 파일은 ‘.grp’ 확장자로 되어 있다. 이걸 열어준다.
인게임 유닛들의 스프라이트는 unit 폴더 안에 있다.
예시로 unit/thingy/esflarge.grp 파일을 열어보면 (아비터의 스테이시스 필드 스킬 이펙트)
이런식으로 불러오기가 된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아비터의 스테이시스 필드는 파란색 계열인데 빨간색으로 출력되고 있다.
왼쪽 아래의 ‘팔레트’가 달라서 그렇다.
팔레트를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저장된 .grp 데이터의 색감이 변경되는 구조이다.
하나씩 변경하다 보면 ‘bfire.pal’이 스테이시스 필드 스킬의 팔레트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걸 하나하나 일일히 알려주기에는 양이 너무 많으므로 생략하겠다.
어차피 이걸 추출하고 있다는것은 분명히 스타크래프트를 많이 해보셨을 것이기 때문에 팔레트를 바꾸다 보면 금방 찾아낼것이다.
- 대략적인 팔레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bfire(blue) → 일반적으로 프로토스 계열의 이펙트로 많이 사용
- gfire(green) → 일반적으로 저그 계열의 이펙트로 많이 사용
- ofire(orange) → 일반적으로 테란 계열의 이펙트로 많이 사용
- Icons → 말그대로 아이콘
- Terrain → 지형(베스핀가스 같은것들)에 적용
- Units → 마젠타 색상 컬러키를 가진 유닛 스프라이트가 출력됨
- Wireframe → 와이어프레임에 사용(오브젝트의 체력에따라 파츠 손상도 표시하는 그거)
팔레트를 맞췄으면 이제 추출을 해주면 된다.

- Ctrl + A를 눌러 전체 프레임을 선택해주고
- 하단의 드롭다운 메뉴에서 Single BMP(FrameSets 를 선택해준 뒤에
- 3번의 아이콘을 클릭해서 Export BMP를 해주면 된다.
cf)드롭다운 메뉴에서 One BMP Per Frame 하면 한 장당 파일 하나로 생성 가능한데 너무 복잡해지므로 가급적이면 한장에 다 떄려넣는 Single BMP를 선택해 주자.
Single BMP(Vertical)은 절대로 사용하지말것. 세로로 엄청 길게 파일을 생성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결과물을 얻을수 있다

<프로그램 사용법 요약>

- 파일 열어준다
- 팔레트 골라준다
- 프레임 전부 선택해주고
- Single BMP(Framesets) 인지 확인한 후
- Export BMP로 변환
TIP
- 리소스 이름 파일 네이밍이 실제 유닛 이름과 다른 경우가 매우 많다. 한눈에 뭔지 잘 모르겠으면
[site:www.stormcoast-fortress.net] ‘파일명’ 으로 검색해보자. 대부분 나온다.
- 인터페이스 같은 경우는 .pcx 파일 형태로 되어있고, 꿀뷰나 알씨로도 열어볼수 있으며 변환도 가능하다.
- 초상화 같은 경우는 portrait 폴더 안에 .smk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데, 열기도 복잡하고 이미지형태로 바꾸는것도 복잡한데다가
그냥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해서 gif 파일 갖다 쓰는게 더 빠를수도 있다.
요약
- Total Commander 프로그램 설치후 MPQ 플러그인을 등록해서 MPQ파일 압축을 해제
- PyMS를 설치하고 PyGRP.pyw를 실행해서 .grp 파일을 .bmp 파일로 변환
Uploaded by N2T